게임 개발에서 스크립트는 게임의 핵심입니다. 스크립트는 게임의 로직, 캐릭터의 행동, 환경의 변화 등 게임의 모든 움직임을 제어하는 힘입니다. 하지만 때로는 스크립트를 잠시 멈추거나 완전히 비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생깁니다. 예를 들어, 게임의 특정 부분에서 특정 스크립트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게임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끄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스크립트를 완전히 비활성화하거나, 특정 상황에서만 스크립트를 끄는 방법, 또는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만 끄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끄는 다양한 방법과 그에 따른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스크립트 활성화/비활성화 토글 사용하기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은 스크립트의 활성화/비활성화 토글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유니티 에디터에서 스크립트를 선택하고 Inspector 창에서 “Enabled” 옵션을 체크하거나 해제하면 스크립트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스크립트의 전체 기능을 켜거나 끄는 데 유용하며, 특정 상황에서 스크립트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
* 간단하고 직관적입니다.
스크립트를 빠르게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단점:
스크립트의 모든 기능을 켜거나 끄기 때문에, 특정 기능만 끄고 싶을 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게임 실행 중에 스크립트를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없습니다.
2. 코드를 사용하여 스크립트 활성화/비활성화하기
스크립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코드로 제어하는 방법은 더욱 유연하고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C#에서 제공하는 “enabled” 속성을 사용하여 스크립트를 동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csharp
// 스크립트 활성화
gameObject.GetComponent
// 스크립트 비활성화
gameObject.GetComponent
“`
장점:
* 게임 실행 중에 스크립트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 특정 상황에 따라 스크립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코드를 작성해야 하므로 개발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조건문을 이용하여 스크립트 기능 제어하기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만 끄고 싶을 때는 조건문을 사용하는 방법이 효과적입니다. 스크립트 내부에서 조건문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만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csharp
if (condition) {
// 기능 실행
} else {
// 기능 비활성화
}
“`
장점: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만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
* 게임 로직에 따라 유연하게 스크립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단점:
* 코드를 작성해야 하므로 개발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4. 이벤트 시스템 활용하기
유니티의 이벤트 시스템은 게임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을 이벤트에 연결하여 특정 상황에서만 기능을 실행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 이벤트 기반으로 스크립트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단점:
* 이벤트 시스템을 이해해야 하므로, 초보 개발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5. 스크립트 분리 및 프리팹 활용하기
스크립트를 여러 개의 작은 스크립트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은 게임 개발을 보다 체계적으로 만들고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합니다. 각 스크립트는 특정 기능을 담당하도록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스크립트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리팹을 사용하면 스크립트를 포함한 게임 오브젝트를 재사용할 수 있어 개발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장점:
스크립트 관리가 쉬워집니다.
* 게임 오브젝트를 재사용하여 개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단점:
스크립트를 여러 개로 분리해야 하므로 개발 초기 단계에서는 오히려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6. 유니티의 Debug 모드 활용하기
유니티는 Debug 모드를 제공하여 게임 실행 중에 오류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Debug 모드에서는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스크립트의 실행 흐름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장점:
* 게임 실행 중에 오류를 찾아내고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스크립트의 실행 흐름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단점:
Debug 모드는 게임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 결론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끄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 방법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방법을 사용할지는 게임의 특성과 개발 상황에 따라 결정해야 합니다. 스크립트의 활성화/비활성화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게임 개발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게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FAQ
Q1.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면 게임 성능에 영향을 미치나요?
A1.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면 게임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비활성화된 스크립트는 실행되지 않으므로 CPU 및 메모리 사용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해도 다른 스크립트와의 연관성 때문에 성능 향상이 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Q2.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인가요?
A2.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특정 상황에서 유용한 방법이지만, 항상 최선의 해결책은 아닙니다.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면 게임의 기능이 제한될 수 있고, 다른 스크립트와의 연관성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Q3.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는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나요?
A3. 네,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는 대신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의 특정 기능만 끄거나, 스크립트의 실행 빈도를 조절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게임 개발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Q4.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끄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4. 유니티 포럼이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니티 문서를 참조하거나 유니티 튜토리얼을 시청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5.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어디인가요?
A5. 유니티 공식 문서, 유니티 포럼, 온라인 튜토리얼 등을 통해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How To Disable/Enable Scripts Using Scripts In Unity
사용자가 검색하는 키워드: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유니티 스크립트 연결 오류, 유니티 컴포넌트 비활성화, 유니티 인스펙터 비활성화, 유니티 온 오프, 유니티 리지드바디 비활성화
주제에 관한 이미지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

카테고리: 유니티 스크립트 끄는 법: 게임 성능 최적화의 비밀
여기서 더 읽어보세요: phucminhhung.com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작성하고 게임을 개발하다 보면, 갑자기 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거나 오류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는 개발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이 오류는 게임 오브젝트에 연결된 스크립트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로, 게임 로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크립트가 제대로 컴파일되지 않았거나 오류가 발생했을 때: 스크립트에 문법 오류가 있거나, 참조 오류가 발생하면 스크립트가 컴파일되지 않고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가 게임 오브젝트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스크립트를 게임 오브젝트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실수가 발생하면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가 다른 스크립트와 충돌을 일으켰을 때: 여러 개의 스크립트가 동일한 게임 오브젝트에 연결되어 있고, 스크립트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면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스크립트가 호환되지 않을 때: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스크립트 코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거나, API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오류 메시지를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오류 메시지에는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된 원인에 대한 단서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류 메시지 분석:
“스크립트 컴파일 오류”: 스크립트에 문법 오류가 있거나, 참조 오류가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입니다. 스크립트 코드를 자세히 검토하여 오류를 찾아 수정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연결 오류”: 스크립트가 게임 오브젝트에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게임 오브젝트의 Inspector 창에서 스크립트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충돌 오류”: 여러 개의 스크립트가 동일한 게임 오브젝트에 연결되어 있고, 스크립트 간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입니다. 스크립트 코드를 검토하여 충돌을 일으키는 부분을 찾아 수정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버전 호환성 오류”: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스크립트가 호환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스크립트 코드를 최신 유니티 버전에 맞게 수정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몇 가지 단계별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1. 스크립트 오류 확인 및 수정:
스크립트 에디터에서 오류 메시지 확인: 스크립트 에디터의 콘솔 창을 확인하여 오류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오류 메시지에는 스크립트의 문제점에 대한 단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오류 메시지 분석: 오류 메시지를 자세히 분석하여 스크립트의 어느 부분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합니다.
문법 오류 수정: 스크립트 코드에서 문법 오류를 찾아 수정합니다. 특히 변수 이름, 함수 이름, 연산자 사용 등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참조 오류 수정: 다른 스크립트나 게임 오브젝트를 참조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참조 대상이 제대로 존재하고, 참조하는 방식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코드 재검토: 스크립트 코드를 다시 검토하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수정합니다.
2. 스크립트 연결 확인:
Inspector 창에서 스크립트 연결 확인: 게임 오브젝트의 Inspector 창에서 스크립트가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스크립트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면 다시 연결합니다.
스크립트 연결 해제 및 재연결: 스크립트를 게임 오브젝트에서 해제하고 다시 연결해 봅니다. 연결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을 수 있으므로, 다시 연결해 보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순서 확인: 여러 개의 스크립트가 연결된 경우, 스크립트의 실행 순서를 확인합니다. 스크립트 실행 순서에 따라 의도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스크립트 충돌 해결:
스크립트 코드 검토: 스크립트 코드를 검토하여 다른 스크립트와 충돌을 일으키는 부분을 찾아 수정합니다. 특히 동일한 변수나 함수를 사용하는 부분, 동일한 이벤트에 반응하는 부분 등을 확인합니다.
충돌 발생 부분 제거 또는 수정: 충돌을 일으키는 부분을 제거하거나 수정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이름을 사용하거나, 변수를 공유하는 방식을 변경합니다.
스크립트 실행 순서 조정: 스크립트의 실행 순서를 조정하여 충돌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실행 순서를 변경하면, 스크립트 간의 의존 관계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4. 유니티 버전 호환성 확인:
유니티 버전 업데이트 확인: 유니티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합니다.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된 경우, 스크립트 코드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거나, API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코드 업데이트: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된 경우, 스크립트 코드를 최신 유니티 버전에 맞게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유니티 문서를 참조하여 최신 API를 사용하는 방법을 확인합니다.
이전 버전의 유니티 사용: 스크립트가 최신 유니티 버전과 호환되지 않는 경우, 이전 버전의 유니티를 사용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는 개발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이지만, 오류 메시지를 주의 깊게 분석하고 위의 해결 단계를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가 발생했을 때, 스크립트를 다시 활성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가 발생하면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된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 해결 단계를 따라 오류를 해결하면 스크립트가 다시 활성화됩니다.
Q.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되면 게임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나요?
A. 네,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되면 게임의 로직에 영향을 미쳐 게임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특히 게임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되면 게임이 실행되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코드 작성 시 주의: 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할 때, 문법 오류를 최소화하고, 참조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연결 시 주의: 스크립트를 게임 오브젝트에 연결할 때, 연결 과정을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스크립트 충돌 방지: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다른 스크립트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유니티 버전 업데이트 확인: 유니티 버전이 업데이트되면, 스크립트 코드가 최신 버전과 호환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Q.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스크립트 비활성화 오류를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유니티 커뮤니티 포럼이나 온라인 검색을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 커뮤니티에는 많은 개발자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오류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유니티 문서를 참조하여 스크립트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유니티에서 오브젝트 비활성화는 게임 개발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게임 내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숨기거나작동을 중지시키는 데 유용하며, 성능 향상 및 게임 플레이 로직 구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는 게임 개발자가 직접 작성하여 오브젝트의 활성/비활성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 내에서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오브젝트의 가시성과 동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작성하기
1. 새 스크립트 생성:
– Project 뷰에서 Assets 폴더에 Right-click하여 Create > C# Script를 선택합니다.
– 스크립트 이름을 “DisableObject”와 같이 적절하게 지정합니다.
2. 스크립트 코드 작성:
“`csharp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DisableObject : MonoBehaviour
{
// 비활성화할 오브젝트를 저장할 변수
public GameObject targetObject;
// 비활성화 함수
public void Disable()
{
if (targetObject != null)
{
targetObject.SetActive(false);
}
}
// 활성화 함수
public void Enable()
{
if (targetObject != null)
{
targetObject.SetActive(true);
}
}
}
“`
3. 스크립트 연결 및 설정:
– Hierarchy 뷰에서 DisableObject 스크립트를 연결할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 Inspector 뷰에서 Add Component 버튼을 클릭하고 DisableObject 스크립트를 선택합니다.
– targetObject 필드에 비활성화할 오브젝트를 드래그 앤 드롭합니다.
4. 비활성화 및 활성화 호출:
– DisableObject 스크립트의 Disable() 함수를 호출하여 오브젝트를 비활성화합니다.
– Enable() 함수를 호출하여 오브젝트를 활성화합니다.
예시:
“`csharp
// 다른 스크립트에서 DisableObject 스크립트에 접근
public DisableObject disableObjectScript;
// 버튼 클릭 시 오브젝트 비활성화
public void OnButtonClick()
{
disableObjectScript.Disable();
}
// 조건에 따라 오브젝트 활성화
if (condition)
{
disableObjectScript.Enable();
}
“`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활용 예시
1. 게임 시작 시 특정 오브젝트 숨기기:
– 게임 시작 시 intro 화면을 보여주고, 메인 게임 시작과 동시에 intro 화면을 숨길 수 있습니다.
– intro 화면 오브젝트에 DisableObject 스크립트를 연결하고, 게임 시작 시 Disable() 함수를 호출합니다.
2. 적 캐릭터 등장 및 사라짐 구현:
– 적 캐릭터가 특정 위치에 도달했을 때 등장하고, 플레이어가 처치하면 사라지도록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적 캐릭터 오브젝트에 DisableObject 스크립트를 연결하고, 등장/사라짐 조건에 따라 Enable() 및 Disable() 함수를 호출합니다.
3. 튜토리얼 UI 제어:
– 게임 시작 시 튜토리얼 UI를 보여주고플레이어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숨길 수 있습니다.
– 튜토리얼 UI 오브젝트에 DisableObject 스크립트를 연결하고, 조건에 따라Enable() 및 Disable() 함수를 호출합니다.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의 장점
– 성능 향상: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는 렌더링 및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게임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메모리 관리: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는 메모리를 차지하지 않아 메모리 사용량을 줄입니다.
– 게임 플레이 로직 제어:오브젝트 비활성화를 통해 게임 플레이 로직을 섬세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의 단점
– 오브젝트 비활성화 및 활성화는 CPU 연산이 필요합니다.
– 자주 비활성화/활성화되는 오브젝트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팁:
– 자주 비활성화/활성화되는 오브젝트는 Object Pooling 기법을 사용하여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필요한 컴포넌트만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니티 오브젝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FAQ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에 접근할 수 있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단,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Q. 오브젝트를 완전히 삭제하는 방법은 없나요?
A. Destroy() 함수를 사용하여 오브젝트를 완전히 삭제할 수 있습니다.
Q. Object Pooling이란 무엇인가요?
A. Object Pooling은 자주 사용되는 오브젝트를 미리 생성하고 비활성화 상태로 관리하여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기법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자식 오브젝트는 어떻게 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자식 오브젝트도 함께 비활성화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콜라이더는 동작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콜라이더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할 수 있나요?
A. 네, SetActive(true) 함수를 사용하여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할 수 있나요?
A. 네, GetComponent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은 어떻게 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활성화해야 하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사용하려면 SetActive(true) 함수를 사용하여 활성화해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는 메모리를 차지하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는 메모리를 차지합니다.
Q. 오브젝트 비활성화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 성능에 좋을까요?
A. 자주 비활성화/활성화되는 오브젝트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Object Pooling 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에 접근할 수 있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에도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컴포넌트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동작하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동작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하기 전에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해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무엇 때문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 때문일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가 다른 컴포넌트에 의존하는 경우, 의존하는 컴포넌트가 활성화된 상태여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컴포넌트를 활성화하면 CPU 성능을 소모하고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는 컴포넌트의 상태와 의존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해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사용하면 성능 향상과 메모리 절약의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주 비활성화/활성화되는 오브젝트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사용하는 대신 삭제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오브젝트는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는 메모리를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사용하려면 SetActive(true) 함수를 사용하여 활성화해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는 컴포넌트의 상태와 의존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필요한 초기화를 수행해야 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동작하나요?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동작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초기화되나요?
A. 아니요, 비활성화된 오브젝트를 다시 활성화하면 컴포넌트가 자동으로 초기화되지 않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는 컴포넌트가 비활성화된 동안 변경된 상태를 반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하지 않으면 예상치 못한 동작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하기 전에 초기화하는 방법은 컴포넌트의 초기화 함수를 호출하는 것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해야 하는 함수는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해야 하는 함수는 Awake(), Start(), OnEnable() 등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어떤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는 OnEnable()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컴포넌트가 활성화될 때마다 호출되기 때문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컴포넌트가 제대로 초기화되지 않아 예상치 못한 동작이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OnEnable()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컴포넌트의 특성에 따라 다른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함수는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함수는 Awake(), Start(), OnEnable(), Update() 등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어떤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어떤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지 판단하는 기준은 컴포넌트의 특성과 초기화 시점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없나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은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방법은 GetComponent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이 항상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컴포넌트의 특성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의 장점은 초기화를 더욱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의 단점은 무엇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것의 단점은 코드가 복잡해질 수 있다는 점과 컴포넌트의 의존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대신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컴포넌트의 변수를 직접 초기화하는 대신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A. 네,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가 더 간결해지고 유지보수가 쉬워집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Q.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언제인가요?
A. 비활성화된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다시 활성화할 때 초기화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은 경우는 컴포넌트의 의존성이 복잡하거나 초기화 과정이 복잡할 때입니다.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스크립트
게임 개발에서 성능 최적화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복잡한 게임 환경에서는 불필요한 스크립트가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유니티에서는 스크립트 비활성화 기능을 통해 게임 실행 중 특정 스크립트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기능의 활용 방법과 다양한 활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1. 스크립트 비활성화의 기본 원리
유니티에서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게임 실행 중 해당 스크립트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스크립트의 `Update()` 함수, `FixedUpdate()` 함수 등이 호출되지 않아 CPU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2. 스크립트 비활성화 방법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Inspector 창을 통한 비활성화:
1. 유니티 에디터에서 게임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2. Inspector 창에서 스크립트 컴포넌트를 찾습니다.
3. 스크립트 컴포넌트 옆의 체크박스를 해제합니다.
4. 해당 스크립트는 비활성화되어 게임 실행 중 작동하지 않습니다.
코드를 통한 비활성화:
1. `enabled` 속성을 사용하여 스크립트를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csharp
public class MyScript : MonoBehaviour
{
public bool isActive = true;
void Update()
{
if (isActive)
{
// 스크립트 로직 실행
}
}
}
“`
2. `gameObject.SetActive(false)`를 사용하여 게임 오브젝트와 연결된 모든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csharp
public class MyScript : MonoBehaviour
{
public void DisableScripts()
{
gameObject.SetActive(false);
}
}
“`
3. 스크립트 비활성화의 활용 사례
게임 성능 최적화: 게임 실행 중 특정 영역이나 상황에서 불필요한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특정 영역에 접근했을 때만 작동해야 하는 스크립트를 해당 영역 밖에서는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누수 방지: 스크립트가 불필요하게 실행되는 경우 메모리 누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를 적절히 비활성화하여 메모리 누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게임 로직 제어: 게임 로직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스크립트를 활성화/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의 특정 단계에서만 작동하는 스크립트를 해당 단계가 끝날 때까지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4. 주의 사항
*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기능이지만,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게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의존성: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하기 전에 다른 스크립트와의 의존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정 스크립트가 다른 스크립트에 의존하는 경우, 비활성화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손실: 스크립트를 비활성화할 때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해야 합니다.
5. 추가 정보
* 유니티의 프로파일러를 사용하여 게임 성능을 분석하고, 비활성화할 스크립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코드 풀링을 통해 스크립트 생성 및 소멸 과정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FAQs
Q1.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게임의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A1.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불필요한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아 CPU 자원을 절약하고 게임 실행 속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Q2.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까?
A2. 게임 실행 중 특정 영역이나 상황에서만 필요한 스크립트, 게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스크립트, 메모리 누수를 일으킬 수 있는 스크립트 등을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스크립트 비활성화를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입니까?
A3. 스크립트 비활성화는 다른 스크립트와의 의존성을 고려해야 하며, 중요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스크립트 비활성화가 게임의 로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Q4. 스크립트 비활성화를 사용하지 않고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A4. 스크립트 비활성화 외에도 게임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드 최적화, 메시 최적화, 텍스처 최적화, 오디오 최적화 등을 통해 게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Q5. 유니티 프로파일러를 사용하여 어떻게 게임 성능을 분석할 수 있습니까?
A5. 유니티 프로파일러를 사용하여 CPU, 메모리, 드로우 콜, 렌더링 시간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러를 통해 게임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소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결론
유니티 스크립트 비활성화 기능은 게임 성능 최적화에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적절한 활용을 통해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더욱 매끄러운 게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크립트 비활성화 기능을 숙달하여 게임 개발의 효율성을 높여보세요!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library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Library](https://cdn.imweb.me/thumbnail/20200417/cdaddb55dd162.jpeg)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0dff03afe27ca.jpeg)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9_C# 스크립트 - 게임Ui만들기_타이틀과 엔딩화면 만들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1aebfc45b429d.jpeg)

![[유니티 기초] 03_게임 초간단 2D UI 만들기 - 타이틀과 메인 화면 만들고 버튼으로 제어하기(스크립트)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03_게임 초간단 2D Ui 만들기 - 타이틀과 메인 화면 만들고 버튼으로 제어하기(스크립트)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41de30162703f.jpeg)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6d27577c10439.jpeg)








![[유니티 기초] 26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시간 및 프레임 속도 관리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6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시간 및 프레임 속도 관리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9b62d67ab96eb.jpeg)







![[유니티 기초] 03_게임 초간단 2D UI 만들기 - 타이틀과 메인 화면 만들고 버튼으로 제어하기(스크립트)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03_게임 초간단 2D Ui 만들기 - 타이틀과 메인 화면 만들고 버튼으로 제어하기(스크립트)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fced7ae1c609d.jpeg)
![[유니티꿀팁] 다른 스크립트의 함수를 쉽게 가져오는 방법 - YouTube [유니티꿀팁] 다른 스크립트의 함수를 쉽게 가져오는 방법 - Youtube](https://i.ytimg.com/vi/3lBuHT3HM-Q/maxresdefault.jpg)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5d0da75484d57.jpeg)






![[유니티 5] 1. UI 관리 스크립트과 게임오브젝트 스크립트 연동 2. 누적 보관을 PlayerPrefs 3. 싱글턴 (디자인 ... [유니티 5] 1. Ui 관리 스크립트과 게임오브젝트 스크립트 연동 2. 누적 보관을 Playerprefs 3. 싱글턴 (디자인 ...](https://blogthumb.pstatic.net/MjAxNzAyMDlfNzYg/MDAxNDg2NjEyNDA5OTAx.e41t7g2kG6D2rWOaQwqkHFnF3fBcIv3mgAP1Q1ZOT2Ag.UXKQOUocNzH8RhlAnmSJO0AAq47om2cnluoiRxH13lQg.PNG.qkrghdud0/14.png?type=w2)

![[유니티 기초] 스크립트 직렬화 (Script Serialization) [유니티 기초] 스크립트 직렬화 (Script Serialization)](https://blog.kakaocdn.net/dn/E2mxx/btrO6gr4QAf/9axXvYs7VxuLNhcp40A1f0/img.png)






![[유니티 기초] 22_C# 스크립트 - GetKeyDown(), 캐릭터 움직이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2_C# 스크립트 - Getkeydown(), 캐릭터 움직이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d16b7d2996692.jpeg)


![HanMin의 세상사는 이야기: [Unity Tip] MonoBehaviour 스크립트 마법사를 사용한 Unity 메서드 구현 Hanmin의 세상사는 이야기: [Unity Tip] Monobehaviour 스크립트 마법사를 사용한 Unity 메서드 구현](https://1.bp.blogspot.com/-sVXzMrdwZ_k/XUg-G8DYQrI/AAAAAAAAxVQ/8nkXclpg8AwJFeVwOZprvSpax98-rnRsACLcBGAs/s1600/unity_1.png)





![[컴퓨터공학 프로그래밍] 4 유니티Unity 스크립트의 이해공학기술레포트 [컴퓨터공학 프로그래밍] 4 유니티Unity 스크립트의 이해공학기술레포트](https://www.reportdown.co.kr/View/[%EC%BB%B4%ED%93%A8%ED%84%B0%EA%B3%B5%ED%95%99%20%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204%20%EC%9C%A0%EB%8B%88%ED%8B%B0Unity%20%EC%8A%A4%ED%81%AC%EB%A6%BD%ED%8A%B8%EC%9D%98%20%EC%9D%B4%ED%95%B4_pdf_01.gif)
![1-1장 C# 스크립트와 오브젝트의 이동 - 유니티 헤엄치기 [따라하면서 배우는 유니티 2D 입문서] 1-1장 C# 스크립트와 오브젝트의 이동 - 유니티 헤엄치기 [따라하면서 배우는 유니티 2D 입문서]](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48755297/87387400-91a25280-c5dd-11ea-80c2-43a64b577b52.png)

![1-3장 오브젝트 애니메이션 적용 - 유니티 헤엄치기 [따라하면서 배우는 유니티 2D 입문서] 1-3장 오브젝트 애니메이션 적용 - 유니티 헤엄치기 [따라하면서 배우는 유니티 2D 입문서]](https://user-images.githubusercontent.com/48755297/87400535-ea7ce580-c5f3-11ea-8757-d76b488c09fc.png)
![[유니티깨알팁] 유니티 플레이 영상을 쉽게 녹화하는 법 - YouTube [유니티깨알팁] 유니티 플레이 영상을 쉽게 녹화하는 법 - Youtube](https://i.ytimg.com/vi/I0r949js4rk/maxresdefault.jpg)
![DOTween과 비주얼 스크립팅 2: 닷트윈 시퀀스 [유니티 UI, UGUI 강좌] - YouTube Dotween과 비주얼 스크립팅 2: 닷트윈 시퀀스 [유니티 Ui, Ugui 강좌] - Youtube](https://i.ytimg.com/vi/FceDf7zply0/maxresdefault.jpg)



![2022.1 유니티 기초 강의 [6/7] - 스크립트 개요, C# 프로그래밍 기초 - YouTube 2022.1 유니티 기초 강의 [6/7] - 스크립트 개요, C# 프로그래밍 기초 - Youtube](https://i.ytimg.com/vi/1-3mLjg-9IA/maxresdefault.jpg)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 [유니티 기초] 28_C# 스크립트 - Time.Deltatime_타이머만들기 : 유니티 기초](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4b625b41aea40.jpeg)

![[UnityScript] 1. 유니티 스크립트 소개 및 기본 구조 : 네이버 블로그 [Unityscript] 1. 유니티 스크립트 소개 및 기본 구조 : 네이버 블로그](https://blogthumb.pstatic.net/20131107_277/nuberus_1383803051525grxtL_PNG/20131107_144408.png?type=w2)
![기어코 유니티 안으로 들어와버린 ChatGPT [ 에디터조작 / 스크립트작성 / 쉐이더생성 ] - YouTube 기어코 유니티 안으로 들어와버린 Chatgpt [ 에디터조작 / 스크립트작성 / 쉐이더생성 ] - Youtube](https://i.ytimg.com/vi/_CR2JaJy4XU/maxresdefault.jpg)



![[유니티 기초] Unity Remote 5 스마트폰에 설치하기 : library [유니티 기초] Unity Remote 5 스마트폰에 설치하기 : Library](https://cdn.imweb.me/upload/S201902145c64e54c703b4/03645a91d98d1.png)
이 기사에 대한 링크: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
자세한 내용은 이 항목을 참조하세요: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
-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켜기(ON/OFF)’ 스크립트 – 네이버 블로그
- 유니티 <스크립트 On / Off > 기능 작성 – 기획자 코코넛 – 티스토리
- [유니티] 게임오브젝트의 스크립트를 비활성화 하기
- 유니티 스크립트 생성 및 게임 오브젝트 활성화 비활성화
- [유니티] ‘스크립트 끄기/켜기(ON/OFF)’ 스크립트 – 네이버블로그
- 유니티 – [컴포넌트 추가, 삭제, 비활성화]
여기서 더 보기: https://thuetaxi.com/category/music blog